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최악의 무역수지.. 2023년 1월 수출입 실적 점검

by PaxData 2023. 2. 16.

최근에 좋지 않은 무역수지 실적을 보여주고 있는 와중에 올해 1월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는데 2002년 이후 월간 기준 최악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작년 무역수지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로 돌아섰다고 했는데 최악을 갱신했습니다.

 

 

우리가 수출입 실적과 무역수지를 보는 이유는 우리나라 경기가 어떤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도 직접 수출입 데이터를 확인해 보면서 구체적으로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보겠습니다.

작년에 대한 내용은 2022년에 박살 난 무역수지.. 수출입 데이터 둘러보기 여기에 있습니다.

 

Contents

     

     

    2023년 1월 수출입 실적과 무역수지 적자

    올해 1월의 수출 / 수입 실적을 작년과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수출은 -16.5%로 크게 감소했지만 수입은 -1.2% 감소했습니다.

    2023년 1월 수출입 금액 비교
    데이터출처: 관세청

    수입은 조금 감소했는데 수출이 크게 감소하다 보니, 무역수지는 아래와 같이 작년 1월에 비해 무려 -145.6%나 더 적자폭이 커졌습니다.

    벌써 관련된 뉴스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1월 무역수지 적자 관련 기사들 보러 가기

     

    1월에 설연휴도 있었고 최근에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경기가 금리인상으로 인해 좋지 않다는 것을 뉴스를 통해서 많이 봤지만 지난달 무역수지 적자폭이 놀라운 이유는 그 규모가 역대급이기 때문입니다.

     

     

    2002년~2023년 월별 무역수지 적자

    2002~2023년 1월 무역수지 적자 추이
    데이터출처: 관세청

    사진에서 0을 기준으로 무역수지 흑자는 초록색이고 적자는 빨간색인데요, 보시다시피 지난달의 무역수지 적자 크기는 역대급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 때는 특수상황이라 치면, 더 이상은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크다고 말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은데 저렇게 무역수지가 나빠진 것은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수출이 많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품목의 수출이 감소했을까요?

     

    2023년 1월 전년대비 수출입과 무역수지 (대분류 기준)

    무역수지 적자가 큰 이유는 수출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니 먼저 아래 2가지를 기준으로 확인해 보려 합니다

    1. 어느 항목에서 수출, 수입이 크게 변동했나?
    2. 어느 항목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큰가?

    항목 대분류 기준에서 먼저 확인해 보았습니다.

    대분류 기준 2023년 1월 전년대비 수출, 수입, 무역수지
    데이터출처: 관세청

    수출입실적

    • 수출은 전년대비 소비재 -1.9% / 원자재 -14.5% / 자본재 -21.5%
    • 수입은 전년대비 소비재 +2.2% / 원자재 -5.5% / 자본재 -0.2%

    무역수지

    무역수지는 수출금액 - 수입금액입니다. +이면 수출이 더 많아서 돈을 벌어들인 것이고 -라면 수입이 더 많아서 돈이 해외로 유출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소비재

    • 비록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해서 무역수지 적자에 영향을 주긴 했으나
    • 절대 금액이 크지 않기 때문에 영향이 크지 않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원자재

    • 수출도 감소하고 수입도 감소했지만 수출이 -14.5%로 더 크게 감소
    • 원자재의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뭐.. 우리나라는 에너지 전량 수입국이니 어느 정도 이해는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그래도 수출 감소가 컸기 때문에 확인은 필요

    자본재

    • 수입은 -0.2% 감소하는데 그친 반면 수출이 -21.5%로 크게 감소
    • 그에 따라 무역수지가 66.1%나 감소

     

     

     

    무역수지 악화 원인

    역시 세부 내용을 보니까 조금 더 이해가 됩니다.

    원자재 수출감소도 원인이지만, 보다 더 큰 원인은 바로 자본재의 수출 감소입니다.

     

    우리나라는 자본재로 돈을 벌어서 원자재 수입에 쓰는데요, 주요 벌이인 자본재의 수출이 이렇게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감소한 건 정말 큰 일인 것 같습니다.

     

    그럼 원자재와 자본재의 어느 세부 항목의 수출이 그렇게 크게 감소했을까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자본재의 세부 항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자본재 수출감소 항목

    소분류 기준으로 주요 수출감소 품목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수출실적 감소 품목 (자본재 소분류 기준)

    2023년 1월 기준 수출실적과 무역수지 자본재 소분류기준
    데이터출처: 관세청

    반도체가 엄청나게 감소했습니다.. 전년 동월대비 -43.5%입니다. 금액으로는 47억 달러가 넘습니다 (6조원+a). 정보기기와 일반기계 또한 크게 감소했고, 그밖에 디스플레이, 수송장비 부품, 기타 IT부품, 정밀기계들의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기 보기 위해서 소분류 아래에 있는 세분류로도 봤습니다.

    주요 수출실적 감소 품목 (자본재 세분류 기준)

    2023년 1월 기준 수출실적과 무역수지 자본재 세분류기준
    데이터출처: 관세청

    반도체 중에서도 집적회로반도체의 수출이 -45%로 크게 감소했고,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도 뒤를 이어 크게 감소했습니다. 컴퓨터를 많이 안 사나 봅니다. 그리고 비율로 보면 사진 및 광학기기는 작년에 비해 무려 -71.6%의 수출 감소를 보였습니다.

     

     

     

    원자재 수출감소 항목

    자본재만큼은 아니지만 원자재도 무역수지 적자 원인 중 하나였는데요 이번에는 원자재 항목을 뜯어보겠습니다.

     

    원자재에 관련해서도 분류체계 설명 포스팅이 있습니다.

    주요 수출실적 감소 품목 (원자재 소분류 기준)

    원자재에서는 석유화학제품, 철강 그리고 정밀화학제품의 수출이 주로 감소했습니다.

    2023년 1월 기준 수출실적과 무역수지 원자재 소분류기준
    데이터출처: 관세청

    • 석유화학제품, 철강 모두 -25% 이상 감소
    • 정밀화학제품은 -37.6% 감소

    원자재도 소분류보다 더 자세한 세분류 기준에서 주요 수출감소 품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요 수출실적 감소 품목 (원자재 세분류 기준)

    2023년 1월 기준 수출실적과 무역수지 원자재 세분류기준
    데이터출처: 관세청

    합성수지, 철강 판재, 의약품의 수출 감소가 컸습니다. 의약품은 -44.2%나 하락했습니다. 코로나가 끝나가는 영향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오늘은 2023년 1월 무역수지 악화 원인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그래서 이게 나랑 무슨 상관이냐?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전 국민에게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는 수출해서 먹고사는 나라입니다.

    그래서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회사와 직장인이 가장 많습니다.

    수출 실적이 나빠지면 관련된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의 급여나 워라벨, 나아가서는 고용안정에도 영향을 줍니다.

     

    성과급이 감소하면 소비가 줄고..(안 그래도 고물가상황인데ㄷㄷ) 실적 나빠져서 더 일하게 되면 야근도 더 하게 되면서 스트레스도 증가합니다. 특히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중소기업은 버티지 못하고 폐업하게 되면 또 다른 각종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무역수지가 나쁘다는 말은 곧 달러가 해외로 갔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면 환율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요, 수출 시 가격 경쟁력이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지금처럼 고물가가 문제인 상황에서 물가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출실적이 중요한데 지난달에 이렇게나 감소를 했으니 걱정이 되는군요.

    마지막으로,

    이렇게 무역수지가 역대 최악인 상황에서도
    수출이 증가하는 품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건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