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2022년에 박살 난 무역수지.. 수출입 데이터 둘러보기

by PaxData 2023. 1. 24.

2022년 수출과 수입 그리고 무역수지가 어떠했는지 혹시 아시나요? 2022년 12월까지의 수출입 실적 데이터를 확인해 보니 작년의 무역수지 적자는 2000년 이후 역대급이었습니다. 무엇 때문에 이렇게 안 좋은 결과가 나왔는지 직접 데이터를 한번 확인해 보았습니다.

 

 

썸네일_무역수지_적자전환_수출_수입

 

뉴스에서도 관련된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73908.html

 

2022년 무역적자 472억달러 ‘사상 최대’

무역수지 적자 9개월째 이어져

www.hani.co.kr

참고로 작년뿐 아니라 올해에도 계속 이런 추세하고 하네요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1217977i

 

올해 20일 만에 무역적자 100억달러 넘었다

올해 20일 만에 무역적자 100억달러 넘었다, 도병욱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기사에 나오는 내용들을 직접 관세청에서 받은 수출입 데이터를 가지고 좀 더 확인해 보겠습니다!

 

Contents

     

    연도별 수출입 실적

    먼저 2002년~2022년12월 연도별 수출입 실적입니다.

     

    월별_수출_수입_수출입_추이_관세청
    연도별 수출입 금액(억$), 데이터출처: 관세청

     

    파란 선이 수출이고, 빨간 선이 수입입니다.

     

    2020년 코로나 때문에 수출과 수입 모두 감소했다가 작년(2021년)에 코로나 모두 회복하고 2022년에도 증가했습니다. 2022년 수출은 또다시 역대 최대를 갱신했지만 문제는 수출이 증가한 거에 비해서 수입이 훨씬 크게 증가를 한 것입니다.

     

    그래프 가장 우측이 2022년인데요, 빨간선(수입)은 계속 급상승하는 데에 반해 파란선(수출)은 증가세가 주춤하는 걸 볼 수 있고 심지어 빨간선이 파란선을 추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자로 전환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수출입 전년대비 증감률

    수출과 수입의 전년대비 증감률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연도별 수출증감률입니다. 2022년 수출은 2021년에 비해서 6.1% 증가했습니다. 2021년에는 2020년이 코로나 때문에 급감했었기 때문에 기저효과로 인해 25.7%나 증가했었습니다.

     

    연도별_수출_증감_관세청
    연도별 수출증감률, 데이터출처: 관세청

     

    아래는 연도별 수입증감률입니다. 2022년 수입은 2021년에 비해서 18.9%나 증가했습니다. 수출이 6.1% 증가했으니 증감폭이 3배를 넘습니다.

     

    연도별_수입_증감_관세청
    연도별 수입증감률, 데이터출처:관세청

     

    비율로 보니 과거에도 크게 증가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비율이 아니라 금액으로 보면 차이가 좀 더 와닿을 것 같습니다.

     

    아래 그래프의 위쪽은 수입증감액, 아래는 수출증감액입니다.

    2022년 기준 전년대비 수입은 +1,161억달러 / 수출은 +393억달러 각각 증가했습니다.

     

    연도별_수출_수입_증가율_증감액
    연도별 수출입증감액(억달러), 데이터출처:관세청

     

    연도별 무역수지

    그렇다면 이제 무역수지를 볼까요?

    참고로 무역수지는 수출금액 - 수입금액입니다. 이걸 계산해서 그래프로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별_무역수지_관세청_2022년~2022년
    연도별 무역수지(억달러), 데이터출처:관세청

     

    2022년 무역수지는 474.7억달러 적자였습니다.

     

    2000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건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이후 처음인데요, 하지만 무역수지 적자의 규모는 2008년(133.5억달러 적자)에 비해 3.5배 정도이니 작년 무역수지 적자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 가늠이 되시나요?

     

     

    월별로 보면 2022년에는 2월을 제외하면 계속 적자였습니다..

     

    월별_무역수지_관세청_2020년 이후
    2020년이후 월별 무역수지(억달러), 데이터출처:관세청

     

    위 그래프를 조금 다르게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빨간선이 2022년인데요, 최근 3개년의 월별 무역수지를 보면 2022년은 거의 0 아래에 있습니다.

     

    연도별 월별 무역수지_관세청
    최근3년 월별 무역수지 비교, 데이터출처:관세청

     

    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

    그렇다면 어떤 이유로 이렇게 무역수지 적자가 커진 걸까요?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2022년에는 환율도 높았으니.. 그 효과가 더 컸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관련 내용을 관세청에서 받은 데이터를 직접 분석해 봤습니다.

     

    2022년 수입금액이 큰 품목들과 전년대비 수입금액 증가를 보니 원자재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네요

    2022년_수입_품목_증가액
    데이터출처: 관세청

    반면 수출품목의 경우 압도적인 수출품 1위인 메모리반도체가 전년대비 -86.8억 달러나 감소했습니다.

     

     

    그밖에 다른 품목들은 전년대비 증가를 보이지만, 수입금액이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네요

     

    2022년_수출_품목_증가액
    데이터출처: 관세청

     

    참고로 국가별 수출동향은 산업부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고 하니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 중국은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감소
    • 그밖에 지역은 주역 수출품목과 자동차 및 2차전지 수출증가
    • 특히 인도 인프라 투자 확대로 수출 크게 증가

     


    수출 / 수입 / 무역수지에 대해서 세부항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시면 아래글을 참고해 주세요~!

    수출입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면 다시 팔로업해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