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구성 항목을 세분화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소비재, 원자재에 이어서 이번은 자본재입니다. 자본재란 다른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화입니다. 원자재가 원료라면, 자본재는 그 다음 단계이고, 자본재를 거쳐서 우리가 최종 소비하는 소비재가 되는 것입니다.
수출입의 분류체계에 대한 다른 포스팅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tents
자본재 구성내역
자본재의 구성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IT부품
- 반도체 / 기타 IT부품 / 평판디스플레이
기계류
- 일반기계 / 정밀기계 / 전기기계 / 기계요소 및 공구류 / 금속 구조물, 용기 및 무기
수송장비
- 수송장비 부품 / 선박 / 기타 수송장비 / 자동차(수송장비)
IT제품
- 정보기기 / 무선통신기기 / 방송기기 / 유선통신기기
반도체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수출도 많지만 수입액 또한 큰데요, 마침 관련된 기사가 있어서 남깁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DKLJ2SPN
외국산 반도체 수입 50% 급증한 이유는 [뒷북비즈]
국내 제조 업계에서 외국산 반도체 유통량이 수년째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화권 반도체 업체들의 저가 공...
www.sedaily.com
자본재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이기 때문에 중요한데요. 이런 자본재의 중분류별로 하나씩 어떤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보겠습니다.
IT부품
IT부품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분류 항목입니다.
그중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수출입 데이터를 보면 작년에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했지만 연말에 수출은 조금 증가했고 수입은 다시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수입의 경우 차량용, 가전용 제품 생산에 필요하기 때문에 반도체 수입은 다른 자본재의 수출을 예상할 때 활용될 수 있는 선행지표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의 경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용 반도체의 수입이 증가한다는 것은 자동차 수출이 곧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반면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은 계속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가 좋지 않고 중국 업체들의 추격까지 있기 때문인데요, 정부도 심각하게 생각하는지 9천억원에 달하는 정책금융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https://zdnet.co.kr/view/?no=20230118082916
산업부 "올해 디스플레이 산업에 9천억원 정책금융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디스플레이 기업 간담회를 열고 투자 어려움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산업부는 현장 점검 일환으로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이면서도...
zdnet.co.kr
기계류
다음에 살펴볼 자본재는 기계류입니다!
기계류는 일반기계 / 정밀기계 / 전기기계 / 기계요소 및 공구류 / 금속 구조물, 용기 및 무기로 구분됩니다.
이중 일반기계가 약 40%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일반기계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로, 정밀기계 (주로 반도체, 의료 관련 기계)와 전기기계 (주로 발전에 관련된 기계)를 제외한 다양한 기계를 포함합니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반기계 / 정밀기계 /전기기계의 2010년부터의 추이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기계: 정체 중인 것 같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기계류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정밀기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가 작년에 조금 감소함 (정밀기계는 반도체제조 관련 장비가 포함됨)
- 전기기계: 2010~2018까지는 증가세를 보였다가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중
수송장비
수송장비입니다. 아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수송장비 부품 / 선박 / 기타 수송장비 / 자동차(수송장비) / 철도차량 / 항공기 /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주의할 사항으로는, 이전에 다루었던 소비재에서도 하위항목에 내구소비재의 하위 항목으로 자동차가 있었는데요,
(더보기에서 소비재 항목 설명글 참고)
자본재-수송장비에서 말하는 자동차는 소비재로써의 자동차가 아닌 생산수단에 활용되는 자동차를 의미합니다.
상위 항목만 2010년 이후 추이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선박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기타 수송장비의 수입은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IT제품
자본재를 구성하는 마지막 중분류 항목은 IT제품입니다. 위에서 "IT부품"도 있었는데요~ IT제품과의 차이는,
"제품"은 판매를 목적으로 하고 "부품"은 다른 제품의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IT제품은 아래와 같이 무선통신기기 / 정보기기 / 방송기기 / 유선통신기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T제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무선통신기기와 정보기기입니다.
2010년 이후 추이를 보면
- 무선통신기기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도 여기에 포함되는데요, 시장이 안 좋기도 하고 공장을 해외로 옮긴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면 수입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이폰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 반면 정보기기는 수출입 모두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본재의 중분류별 품목을 확인해 봤습니다
자본재의 소분류 항목 기준으로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을 보면 이렇습니다.
우리나라는 자본재, 원자재를 수입해서 자본재를 주로 수출하는데요, 그것도 일부 산업, 품목의 비중이 큰 편입니다.
특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가 최근 감소하고 있는 걸 확인했는데요, 2023년에도 벌써부터 아래와 같은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반도체 부진에 수출 넉 달째 감소…무역적자 역대 최대(종합) - 연합인포맥스
*그림1*[연합뉴스TV 제공](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수출 감소폭이 확대되며 넉 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이 감소하면서 월간 무역적자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news.einfomax.co.kr
반도체 수출 -45% …새해 벽두부터 역대 최대 무역적자
한국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의 1월 수출액이 지난해 1월보다 40% 넘게 급감하며 ‘반도체 수출 쇼크’를 보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월(—46.9%) 이후 최대로…
www.donga.com
아직 1월 전체 데이터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2월 15일 공표예정) 1월 데이터가 나오면 다시 상세하게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수출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의 무역수지.. 2023년 1월 수출입 실적 점검 (0) | 2023.02.16 |
---|---|
우리나라는 중국과 무역을 얼마나 할까? (0) | 2023.02.15 |
관세청에서 수출입 데이터 다운받아 볼 때 조심하세요! (0) | 2023.01.31 |
원자재 수출입 품목 분류와 분류체계 3편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