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우리나라는 중국과 무역을 얼마나 할까?

by PaxData 2023. 2. 15.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규모, 수출, 무역수지는 얼마나 될까요? 중국이 좋지 않으면서도 관계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중국이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기 때문입니다.

썸네일_ 대중국 무역 비중 2022년 수출입데이터

그래서 오늘을 중국에 얼마나 수출을 하고 있고 중국과의 무역규모(수출+수입)과 무역수지가 얼마나 되는지 직접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시면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는 감이 올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포스팅 내용은 2022년 12월까지의 수출입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함께 참고할 포스팅

 

Contents

     

    국가별 무역규모 순위

    2022년 기준 국가별 무역규모 순위
    데이터출처: 관세청

    작년 기준 국가별 무역규모 (각 국가별 수출 + 수입)를 보면, 2022년 수출입 실적이 있는 246개국 가운데 중국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중국 1개 국가가 우리나라 전체 무역의 21.5%를 차지합니다. 2022년에 3,104억 달러면 환율을 보수적으로 생각해도 대략 400조 원 정도입니다.

     

     

    2위인 미국보다 무려 62%가 많고, 3위인 베트남의 3.5배 수준입니다. 좋든 싫든 중국이 우리나라 최대 무역국입니다.

    국가별 무역규모

    더 과거부터 보면 2000년대 초반에는 미국이 무역규모 1위 국가였습니다.

     

    2000년~2022년 국가별 연도별 무역규모
    데이터출처: 관세청

     

    그러다가 2003년에 중국이 2위가 되고 바로 다음 해인 2004년, 미국을 제치고 우리나라 최대 무역국이 된 이후로 무려 18년째 우리나라 최대 무역국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래프를 보시면 최근에도 쭉쭉 올라가고 있습니다. 3위가 잘 보이지 않는데요, 2022년에 베트남이 일본을 제치고 우리나라와 무역규모가 큰 3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수출은 어떨까요?

     

    국가별 수출액 순위

    2022년 국가별 수출액 순위
    데이터출처: 관세청

     

    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 역시 중국입니다..

    • 우리나라 2022년 전체 수출의 22.8%인 1,557.8억 달러가 대중국 수출
    • 2위인 미국의 1.4배 수준
    • 3위 베트남의 2.6배 수준
    • 우리나라는 수출국 1~3위의 비중이 47.8%나 됩니다

     

     

    국가별 수출액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은 2003년 이후 줄곧 중국이었습니다.

     

    2000년~2022년 국가별 연도별 수출액
    데이터출처: 관세청

    아래에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 2018년에는 대중국 수출액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27%
    • 미국의 비중은 계속 하락하다가 최근에 다시 올라가기 시작
    • 베트남이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중

     

    2000년~2022년 국가별 연도별 수출액 비중
    데이터출처: 관세청

     

    국가별 수입액 순위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수입을 하는 국가 역시.. 중국입니다. 2위인 미국의 1.9배 정도 되고 3위인 일본의 2.8배가 넘습니다.

     

    2022년 기준 국가별 수입규모 순위
    데이터출처: 관세청

     

    국가별 수입액

    2007년 이전까지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국가는 일본과 미국이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증가해서 2007년 이후 계속 중국이 1위를 지키고 있고 최근에는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0년~2022년 국가별 연도별 수입액
    데이터출처: 관세청

     

     

    그렇다면 중국에 수출도 많이 하고 중국으로부터 수입도 많이 하는데 수출액 - 수입액인 무역수지는 어떨까요?

    국가별 무역수지 순위

    2022년 기준 국가별 무역수지 순위
    데이터출처: 관세청

    중국이 상위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수출과 수입에서 계속 1위였던 것과 달리 최대 무역국인 중국으로부터 얻는 무역수지는 전체 국가 중 22위입니다.

     

    중국을 상대로 수출한 금액에서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금액을 빼면 +$12.1억 이익이라는 의미입니다. 몰타, 뉴질랜드, 슬로베니아 보다 중국을 상대로 돈을 더 못 벌고 있습니다.

     

    국가별 무역수지

    처음부터 중국의 무역수지가 작았던 것은 아닙니다. 2009년 ~ 2018년까지는 중국이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가였습니다.

     

    그러다가 2019년부터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그 사이 베트남, 미국, 홍콩이 상위 무역수지 흑자국이 되었습니다.

     

    2000년~2022년 국가별 연도별 무역수지 흑자
    데이터출처: 관세청

     

    중국으로 가는 어떤 품목의 수출이 감소하거나 어떤 품목의 수입이 증가해서 무역수지 흑자액이 감소했는지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어쨌든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가인데요, 그러다 보니 중국의 코로나 상황이나 정치, 경제 상황에 우리나라도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기간에 중국을 대체할 국가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미국과 베트남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미국은 최근에는 자기 나라에 와서 제조하라고 하고 있으니.. 대미 무역은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만 늘게 될 것 같습니다.


    ▶ 수출입의 품목 분류에 대한 포스팅도 참고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