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수출입 품목 분류와 분류체계 1편

by PaxData 2023. 1. 29.

최근에 수출과 수입에 대한 경제기사를 자주 접하는데요, 아마도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무역수지가 2022년부터 계속 안 좋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출입 품목 분류에 대한 약간의 사전 지식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조금 더 편하게 보기 위해서는 여기에 있는 대시보드를 보면 됩니다.

 

썸네일_수출입_분류체계_세부항목

(지난 포스팅)

2022년에 박살 난 무역수지.. 수출입 데이터 둘러보기

 

Contents

     

    목적

    혹시 우리나라의 수출과 수입이 세부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아시나요?!

     

    앞으로 몇 개의 포스팅에 걸쳐서 수출입 데이터를 세부 품목과 항목으로 break-down 해보면서 아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 보려고 합니다.

    • 어떤 품목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과 수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나
    • 어떤 품목의 수출/수입이 증가 or 감소하고 있나

     

    위 질문에 대합 답을 잘할 수 있으면 주식 투자를 하거나 경기를 판단할 때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0년 이후 약 20년간 수출금액과 KOSPI 지수 추이 분석 - Sejong Data

    안녕하세요. 세종기업데이터입니다. 최근 유동성의 힘으로 증시는 상승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들의 실적 둔화와 이에 따른 Valuation 부담도 존재합니다. 이에 조금은 직관적으로 현

    sejongdata.co.kr

     

    코스피 와 수출증가율 상관 관계

    한국의 주식시장과 수출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위 차트의 로우데이터를 직접 받아서 correl 함수로 상관계수를 구해보니 1990년 1월부터 한국 증시와 수출금액은 0.95의 높은 상관계수를

    freedomfund.tistory.com

     

    그럼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무역통계의 분류체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관세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5단계 분류 (대-중-소-세-세세분류)에 따라서 전체 수출과 수입을 세부적으로 보려고 합니다.

     

     

    대분류 기준

    전체 수출과 수입금액을 대분류로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 기준인데요, 2022년에는 원자재의 적자폭이 워낙 커서 자본재 무역수지 흑자가 커버하지 못하다 보니 전체적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2022년 기준 수출과 수입 대분류 및 무역수지
    2022년 기준 대분류. 데이터출처: 관세청

     

    그리고 보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원자재를 주로 수입하고 자본재를 주로 수출합니다.

    무역수지를 보면 원자재에서 적자를 보고, 자본재에서 만회하고 있습니다.

     

    자본재

    다른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산재 중 토지와 노동 이외의 재화

    무엇인지 와닿으시나요? 어떤 것들을 얘기하는지 잘 모르겠는데요.

    중분류, 소분류로 내려갈수록 더 구체적인 품목이 나올 예정입니다.

     

     

    참고로 아래는 2021년 기준의 수출, 수입 및 무역수지입니다.

    원자재에서 -955.2억달러 적자를 보긴 했지만 2022년과는 달리 자본재의 무역수지가 1,309.2억 달러로 원자재의 적자폭을 상회했었습니다.

     

    2021년 기준 대분류. 데이터출처: 관세청

     

    중분류 기준

    위에서 본 대분류를 구성하고 있는 중분류를 살펴볼까요?!

     

    2022년 기준 중분류 기준 수출 수입 무역수지
    괄호안에 있는 (%) 수치는 각 중분류 항목이 대분류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입니다!. 데이터출처: 관세청

     

    각각의 대분류는 여러 중분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소비재 = 내구소비재, 비내구소비재, 직접소비재
    • 원자재 = 광산물, 화학공업제품, 철강 및 금속제품, 동식물성 연·원료, 섬유류, 기타 원자재
    • 자본재 = IT부품, 기계류, 수송장비, IT제품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들은 IT부품, 기계류, 화학공업제품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세 업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보니 이와 관련된 산업의 경기가 좋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뿐 아니라 경제나 고용에도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줄 거란 것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중분류 기준의 항목을 보니 대분류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데요, 그래도 여전히 내구소비재는 뭐지? IT부품은 뭐지? 하는 의문이 듭니다.

     

    소분류 항목

    각 중분류를 구성하는 소분류의 항목을 보겠습니다!

    그런데 소분류부터는 아래와 같이 항목이 상당히 많습니다.

     

    대분류별 소분류 항목들
    대분류별 소분류 항목들

     

    그래서 소분류부터는 소비재 / 원자재 / 자본재 순으로 구분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출 / 수입 / 무역수지 금액기준의 순위를 남깁니다. (중분류 기준)

     

    2022년 중분류 기준의 수출, 수입, 무역수지 순위
    괄호안에 있는 (%) 수치는 수출, 수입에서 각 중분류 항목의 비중입니다 데이터출처: 관세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