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무역수지 흑자 국가 순위ㅣ2023년 1월

by PaxData 2023. 2. 28.

2023년 1월 기준 한국이 세계 여러 국가들과 무역을 하고 흑자를 많이 낸 국가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무역수지 흑자의 뜻은 그 국가로 수출한 금액이 수입보다 많아서 이득(흑자)을 봤다는 의미입니다. 관세청 수출입 데이터를 가지고 국가별 흑자 규모를 보겠습니다.

썸네일_무역수지-흑자국가

 

흑자국가 순위

지난달인 2023년 1월 기준으로 상위 20개 무역수지 흑자 국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무역수지-흑자국가-순위
데이터출처: 관세청

베트남과 미국에서 전체 흑자의 10% 이상씩을 내면서 각각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 2개 국가의 합이 전체의 1/4 정도 됩니다. 거기에 3위 홍콩을 추가하면 이렇게 3개 국가가 월 10억 달러 이상 흑자를 내고 있고 전체의 1/3을 차지합니다.

 

 

20위에 보이는 영국보다 10배 이상 우리가 달러를 버는 주요한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튀르키예가 7위입니다.

 

8위에 마셜 제도가 어디인지 궁금한 분이 계실 텐데요 아래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 마셜제도 무역수지 설명

 

주요 흑자국 위치

이 나라들을 지도 위에 표현하면 어디에 주로 분포해 있을까요?

무역수지-흑자국가-지도
데이터출처: 관세청

주로 인도-태평양 지역에 많이 몰려있습니다. (파란색 원)

 

저 지역에 있는 국가들과 무역을 통해 우리나라 흑자액의 42% 정도가 발생합니다. 최근에 무역수지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 저 국가들의 무역수지 규모도 작년에 비해서는 대부분 감소하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환율 상승 억제에 도움이 되는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국가들과의 교역을 통해서 달러를 벌어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최근의 무역수지 관련 포스팅

 

▶ 다른 무역수지 순위 포스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