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적자를 보면서도 많이 수입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예상하겠지만 에너지 생산 및 소비에 관련된 원자재입니다. 그 밖에 다른 주요 적자 품목은 뭐가 있는지 수출입 통계를 관세청에서 다운로드해서 확인해 봤습니다. 참고로 무역수지는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금액입니다.
주요 무역적자 품목 TOP20
대한민국이 가장 크게 적자를 보면서 순수입 하는 (수입금액 > 수출금액) 무역적자 품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에너지류
원유, 가스, 석탄, 나프타가 역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특히 TOP3 광물성 연료의 비중이 50%를 넘습니다.
원유는 정제를 해서 국내에서 소비하거나 재수출되기도 하고 가스는 거의 천연가스 발전과 도시가스용으로 사용됩니다. 석탄 역시 발전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에너지가 저렇게 큰 금액을 들여서 순수입을 해야 하니 슬프네요.
반도체 제조장비
우리도 열심히 반도체를 제조해서 수출해야 하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용 장비가 5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도체 생산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는 네덜란드 ASML사의 EUV(극자외선) 노광 장비 같은 것들이겠죠? 기계 한 대에 수천억 원을 넘다 보니 무역수지 적자 금액이 11억 달러를 넘습니다.
원자재
철광석, 동광, 알루미늄, 비철금속 부산물 및 기타 금속광물 등의 원자재도 역시나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차량용 2차 전지에 들어가는 주요한 원자재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 특히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고 합니다.
소비재
의류, 컴퓨터, 스마트폰, 신발류 같은 소비재도 적자 품목입니다. 우리의 일상생활용품 중에서 made in China, made in Italy와 같은 제조국의 태그를 자주 보는데 대부분 적자를 보고 있는 품목이었습니다. 특히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경우 애플의 영향이 아무래도 클 것 같습니다.
▶ 다른 무역수지 순위 포스팅
'수출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수출이 많은 이유는 뭘까 수출국 4위 (0) | 2023.03.08 |
---|---|
돈 벌어주는 수출 효자..주요 무역흑자 품목ㅣ2023년1월 (0) | 2023.03.01 |
무역수지 적자 국가 순위ㅣ2023년 1월 (0) | 2023.02.28 |
무역수지 흑자 국가 순위ㅣ2023년 1월 (0) | 202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