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78

무역흑자 국가 랭킹|2023년2월 2023년 2월 기준 무역수지 흑자를 많이 본 나라는 어디인지 알아보겠다. 관세청에서 수출입 데이터를 받아서 국가별로 수출금액에서 수입금액을 빼서 계산한 값이 (+)인 경우 무역수지가 흑자인 것이다. 이 값(무역수지 흑자금액)의 상위 20위만 다룬다. 2023년 2월 무역흑자 국가 순위 2월 및 올해 1월부터 2월까지의 누적 금액을 기준으로도 보면 우리나라가 무역수지에서 흑자를 많이 보이는 나라 상위 20개국은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로 달러를 순유입 시켜 주는 고마운 국가들이다. 미국, 베트남, 홍콩, 인도, 헝가리가 2월 누계 기준 무역흑자 상위 5개국이다. 무역수지 흑자 국가들 중에서 홍콩과 마셀제도가 특이하게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이해가 된다. ▶ 홍콩과 마셜제도 수출에 .. 2023. 3. 16.
무역적자 국가 랭킹|2023년2월 2023년 2월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무역수지에서 적자를 많이 보고 있는 나라를 알아보겠다. 관세청에서 수출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서 국가별로 수출금액에서 수입금액을 빼서 계산한 값이 (-)인 경우 무역수지가 적자인 것이다. 2023년 2월 무역적자 국가 순위 2월 및 올해 1월부터 2월까지의 누적 금액을 기준으로도 보면 우리나라가 무역수지 적자를 많이 보이는 나라 상위 20개국은 아래와 같다. 2월 누계 기준으로 보면 중국,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독일이 상위 5개국이다. 그런데 2월만 놓고 보면 중국은 7위인데 이는 지난 1월의 대중국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로 컸기 때문이다. 상위권에 있는 호주, 사우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쿠웨이트 등은 모두 우리의 주요 에너지 수입국이다. 이들 국가.. 2023. 3. 16.
60세인 법적 퇴직연령의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법적 퇴직 연령을 60세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에 대한 법적인 근거는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많이 없습니다. 어디에서 그렇게 정하고 있는지를 보고 현실은 어떻게 다른지 확인했습니다. 퇴직 연령의 법적 근거 많은 분들이 퇴직 연령을 정하는 법을 근로기준법이라고 알고 있지만 틀린 내용입니다. 다른 말로 '정년'이라고 하는 퇴직할 나이를 정하는 법은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이하 고령자고용법)입니다. 이 법의 제19조에서 '정년'을 다루고 있습니다. 취업한 경우 회사는 정년을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하고 만약에 그보다 미만인 나이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거나 취업규칙에서 명시했어도 법이 우선하기 때문에 정년은 60세로 정한 것으로 보게 됩니다. 법에서는 이렇게 60세 정년을.. 2023. 3. 15.
해운대에 주차 편하고 봄에 가면 더 좋은 현지인 맛집 랭킹 해운대에 차 가지고 가기 좋은 현지인 맛집 상위 15개입니다. 기준은 현지인들이 3월과 4월에 내비의 목적지로 많이 찍은 곳들입니다. 부산은 외지인이 운전하기 어려운 대표적인 곳입니다. 특히 부산 해운대는 유명 관광지답게 항상 차가 많은데 주차라도 편하게 해야겠죠? Contents 차로 가기 편한 현지인 맛집 현지인들이 최근 3년 동안 봄철인 3월과 4월에 차량 내비게이션 목적지로 현지인들이 많인 찍은 맛집들입니다. 부산 해운대 여행을 갈 예정이고 운전도 할 예정이라면 참고해 보세요. 꼭 무료 주차장이 없더라도 주변에 괜찮은 유료주차장이 있는 곳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위부터 5위까지만 소개해 보겠습니다. 어밤부 (태국음식) 역시 1위 답게 2위랑도 차이가 크죠? 송정에 있는 태국음식점인데 맛, 바다뷰,.. 2023.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