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월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무역수지에서 적자를 많이 보고 있는 나라를 알아보겠다. 관세청에서 수출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서 국가별로 수출금액에서 수입금액을 빼서 계산한 값이 (-)인 경우 무역수지가 적자인 것이다.
2023년 2월 무역적자 국가 순위
2월 및 올해 1월부터 2월까지의 누적 금액을 기준으로도 보면 우리나라가 무역수지 적자를 많이 보이는 나라 상위 20개국은 아래와 같다.
2월 누계 기준으로 보면 중국,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독일이 상위 5개국이다. 그런데 2월만 놓고 보면 중국은 7위인데 이는 지난 1월의 대중국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로 컸기 때문이다.
상위권에 있는 호주, 사우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쿠웨이트 등은 모두 우리의 주요 에너지 수입국이다. 이들 국가에서 원유, 천연가스, 석탄을 수입해서 정제해서 다시 수출하거나 발전용으로 투입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독일과 일본은 우리가 기계, 전자기기 및 부품 등을 주로 수입하는 국가이다.
수출입과 무역에 관한 다른 랭킹 (2023년 2월)
▶ 국가별
▶ 품목별
반응형
'수출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출 많은 국가 순위|2023년2월 (0) | 2023.03.16 |
---|---|
무역흑자 국가 랭킹|2023년2월 (0) | 2023.03.16 |
홍콩 수출이 많은 이유는 뭘까 수출국 4위 (0) | 2023.03.08 |
돈 벌어주는 수출 효자..주요 무역흑자 품목ㅣ2023년1월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