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들이 우후죽순처럼 나오고 있는데요, 비교적 빨리 출시되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YOU.com이라는 검색엔진 서비스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누가 만들었고, 주요한 기능 및 다른 검색엔진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는 포스팅입니다.
Contents
YOU.com
사용해 보니 기존에 항상 사용하던 검색엔진과는 확실히 다른 점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YouCode, YouWrite는 너무 좋았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국어는 제대로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어로 물어보며 이해를 못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검색 결과도 전혀 다른 것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언어 지원을 제외하면 기존에 보지 못한 장점이 많은 검색툴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어만 지원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유용한 검색엔진 툴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주요 기능
가장 큰 차이점이자 주요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구글, 다음,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에서는 검색결과와 연관된 링크를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었지만 YOU는 웹사이트 카테고리별로 요약하고 간단하게 시각화해서 제공하는 걸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우리가 검색할 때를 생각해 보면 결과 상위에 있는 사이트로 들어갔다가 찾는 내용이 없으면 다시 돌아가서 다른 링크로 들어가고, 왔다 갔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들어가 보지 않아도 어느 정도 결과를 미리 볼 수 있는 점은 사용해 보니 확실히 편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you.com에서 chicken이라고 검색한 결과인데요, 보기 편하게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클릭해서 들어가기 전에 어느 정도 미리 판단하는 것이 용이합니다.
chat gpt라고 제가 검색해서 뉴스탭을 가면 아래처럼 보입니다.
많은 검색결과를 들어가서 자세하게 보기 전에 빠르게 어떤 것들이 있는지 탐색하고 싶을 때 편합니다.
YouChat
채팅하는 것처럼 검색하는 서비스는 최근에 많이 나왔습니다. ChatGPT도 있고 빙챗도 있죠. 카카오에서 사용가능한 아 숙업도 있고요. 이에 대해서 포스팅도 했었습니다.
▶ 생성형 AI 관련해서 썼던 포스팅
위에서 다루었던 서비스들에 비해 Chat기능은 아쉬웠습니다. 왜냐하면 한국어로 아무리 물어봐도 아래와 같은 답변만 했습니다.
처음에는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서 이슈가 있어서 답을 안 준다고 생각했는데 아무리 물어봐도 같은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영어로 물어보면 답을 해줬습니다. 한국어는 아직 잘 지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한 이유입니다.
YouCode
YouChat과는 달리 YouCode는 너무 좋았습니다. You.com에 code 관련 검색을 위한 서비스가 따로 있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좋았던 이유는 결과를 보여주는 방식 때문입니다.
공감하시겠지만 프로그래밍 관련해서 검색을 하다 보면 StackOverflow창을 몇 개씩 열어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어디에서 봤었지? 하면서 브라우저에서 열어 놓은 탭들을 돌아다니면서 찾아야 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YouCode에서는 그럴 일이 없습니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StackOverflow 카테고리를 code부분과 함께 보여주면서 아래에 "Open side panel"이라는 게 있습니다.
이걸 누르면 오른쪽 화면에서 해당 내용만 보여주는데 브라우저 탭이 새로 만들어지지 않고 한 곳에서 이렇게 결과를 보는 방식이 직접 경험해보니 아주 편했습니다.
YouWrite
개인적으로 YouWrite도 그 기능도 너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형식과 목적에 맞게 타겟 대상이 볼 글을 써주는 서비스입니다.
예시로 제가 디아블로4 오픈베타에 대해서 gamers한테 쓸 blog를 friendly 한 tone으로 써달라고 하자 사진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것과 같은 결과를 알려주었습니다.
YouWrite에서 선택가능한 Use case는 아래와 같습니다.
- Paragraph
- Social media post
- Title
- Blog
- Essay
그리고 글의 목적에 맞는 Tone도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 Neutral
- Friendly
- Professional
- Witty
- Persuasive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톤의 무슨 글을 쓰는지에 따라서 내용을 써주는 서비스는 있지만 대부분이 유료인데 이렇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은 장점인 것 같습니다.
물론 한글로 내용을 썼는데도 영어로 답변을 주는 점이 한국인 입장에서는 아쉬운 것 같습니다. 갑자기 영어권 사람들이 부럽네요 이런 서비스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깐요.
누가 만들었나
세일즈포스 직원이었던 Bryan McCann and Richard Socher 2020년에 창업한 미국 회사입니다.
참고로 세일즈포스(salesforce)는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로, salesforce라는 마케팅, 판매, 커머스 IT서비스지원 기능을 한곳에서 할 수 있는 유명한 CRM 서비스와 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시각화 Tool Tableau, 업무용 메신저 Slack 등의 유명한 다른 회사도 인수했습니다.
YOU는 서비스 개발을 시작해서 2021년에 public beat 서비스를 내놓았고, 다녔던 회사인 Salesforce 창업자로부터 2천만 달러 투자를 받았습니다. GPT-3.5, 구글 검색엔진, MS 빙 검색엔진을 모두 활용하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AI와 AI 기반의 생성형 서비스들이 많이 나올 것 같고 이들간 경쟁이 붙으면서 빠르게 발전해나가는 보습을 보일 것 같습니다.
YOU.com의 한국어 지원도 시간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글 지원이 되는 YouWrite과 YouCode는 유료로라도 정말 사용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보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세인 법적 퇴직연령의 근거는 무엇인가 (0) | 2023.03.15 |
---|---|
해운대에 주차 편하고 봄에 가면 더 좋은 현지인 맛집 랭킹 (0) | 2023.03.15 |
아숙업(AskUp) 챗GPT in 카톡! 네이밍과 채널 추가 방법 (0) | 2023.03.13 |
새로운 ChatGPT가 온다! 근데 빙챗에만 적용? (0)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