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간 전국 아파트 시장동향ㅣ23년1월5주차

by PaxData 2023. 2. 8.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 데이터를 확인해 봤습니다.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매매수급지수, 전세수급지수를 시도별로 비교해 보면서 지역별 아파트 매매/전세 시장 가격과 수급의 흐름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보겠습니다.

전국_아파트_주간동향_2023년_1월_5주차

참고로 아래부터 가격은 가격지수 기준이고 수급은 수급지수를 뜻합니다. 수급지수는 아래와 같이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 100을 기준으로 클수록 수요가 더 많은 상황 (매도자 우위)
  • 100을 기준으로 작을수록 공급이 더 많은 상황 (매수자 우위)

전국 아파트 가격/수급 동향ㅣ23년 1월 5주차

먼저 매매시장입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 2023년 1월 5주차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전주대비 매매가격은 여전히 하락했지만 하락의 폭은 계속 줄고 있고, 매매수급은 서울 강남을 제외하고는 작년 말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100보다 한참 아래)

 

V자를 그리고 있지만 강남 매매수급은 정체 중이고 수도권은 매매수급이 계속 70 아래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만 서울 강북의 매매수급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 중입니다.

 

매매가격은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데 매매수급은 좋아지고 있다는 것은 낮은 가격에 살 사람이 조금씩 나오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아주 낮은 수치인 것 같습니다. 수급이 기준선인 100보다 한참 아래에 있습니다.


다음은 전세시장입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시장 동향 2023년 1월 5주차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전주대비 전세가격 또한 계속 하락 중이고, 매매가의 하락폭이 감소하는 것과는 달리 전세가격은 하락폭이 크게 감소하고 있지 않습니다. 전세수급은 매매수급이 강남을 제외하고는 V를 그리면서 상승하고 있는 것과 달리 정체 중입니다.

 

매매가 아닌 경우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택하기 때문인 것 같은데요, 다만 서울 강북의 전세수급은 다른 곳들과 달리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세가격의 3개월 변동이 상당히 큰데요, 수도권의 경우 10% 이상 전세가격이 하락했고 지방권도 3개월간 5% 이상 하락했습니다.


시도별로는 어떨까요?

시도별 매매시장의 지난주 변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시장 2023년 1월 5주차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국 시도 모두에서 하락 중입니다. 매매수급을 보면 서울 강북과 충남은 매매 수급이 1% 포인트 이상 증가했고 일부 지역에서도 소폭 상승했습니다. 세종은 지난주에만 아파트 매매가격이 -1% 하락했네요.

 

전반적으로 매매수급지수는 여전히 60보다 아래지만 조금씩 증가 중이고, 충남은 매매수급지수가 88.8로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그래도 여전히 100이 안됩니다. (매도자가 더 많음)

 

한국부동산원에서 밝힌 상세 내용입니다.

2023년 1월 5주차 시도별 아파트 매매동향_한국부동산원
출처: 한국부동산원


시도별 전세시장의 지난주 변동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도별 아파트 전세시장 2023년 1월 5주차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에서 밝힌 상세 내용입니다.

2023년 1월 5주차 시도별 아파트 전세동향_한국부동산원
출처: 한국부동산원


매매/전세시장별 변동률 요약

2023년 1월 5주차 시도별 아파트 매매, 전세 시장 변동률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 세종은 매매, 전세 모두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하락 중입니다.
  • 수도권 전세가격은 최근 3개월간 변동폭이 무려 10%가 넘습니다.. 매매가격보다 더 빠르게 하락 중인데요, 기사를 보면 앞으로 서울에서도 역전세가 나타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역전세 더 심해지나"…향후 2년간 79만여가구 입주

"역전세 더 심해지나"…향후 2년간 79만여가구 입주, 부동산R114-한국부동산원 입주예정물량 정보 공개 2023년 44만2977가구, 2024년 35만2845가구 공급

www.hankyung.com

 

"집주인과 얘기 잘 통하네"...역전세난 속 갱신요구권 사용 '뚝'

집값 하락이 계속되면서 전월세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하는 세입자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서울과 경기, 인천

economist.co.kr

 

참고로 현재 서울 강남과 강북의 전세가격은 무려 2015년 11월 중순과 같은 수준입니다.

서울 강북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 최근10년서울 강북 아파트 전세가격 추이 최근10년
데이터출처: 한국부동산원

무려 8년 전 가격 수준으로 현재 전세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강남 아파트면 보증금의 절대적인 금액도 낮지는 않을 텐데 엄청 하락했습니다.

금리 상승 + 매매가격 하락 + 전세가격 하락까지 겹치면서 무리해서 서울에 갭투자를 한 사람은 재계약이 다가올수록 정말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요새 역월세라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보증금 떨어진 만큼 ‘역월세’ 지급…서울 5건 중 1건은 강남 3구 집주인이 부담

최근 3개월간 서울 역전세 사례 5건 중 1건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이자 부담으로 전세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입주 물량까지 몰리며 선호 주거지로

www.segye.com


2023년 1월 5주 차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시장 데이터를 시도 기준에서 확인해 봤습니다.

앞으로 한국부동산에서 주간 또는 월간 데이터를 공표하면 빠르게 분석해서 늦지 않게 포스팅하기 위해 노력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