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5주차 서울 아파트 시장과 가격 흐름을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매매수급지수, 전세수급지수를 가지고 보겠습니다. 한국 부동산원에서 발표한 2023년 1월 5주차 서울 아파트 주간 데이터를 사용해서 확인해 봤습니다.
서울 지역별 아파트 매매/전세 시장
- 전체 지역에서 매매가격, 전세가격 모두 하락 중이지만 하락폭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
- 수급은 일부 지역에서는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100보다 한참 아래에 있음
사진에서 수급지수 부분에서 초록색 선이 수급지수=100입니다. 수급지수는 100보다 아래에 있으면 팔려는 사람이 살려고 하는 사람보다 더 많다는 뜻입니다.
가격 하락은 감소하고 있지만 절대적인 수급은 여전히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강남지역
- 매매가격 하락이 조금 감소했지만 매매수급은 몇 주간 상승하고 있는 강북지역과는 달리 정체중입니다. 특히 강남 서남권의 매매수급은 몇 주째 60대 선에서 정체하고 있네요
- 강남의 전세가격은 계속 주간 -1%씩 떨어지고 있네요.. 전세는 수급도 안 좋은 상황입니다. 월세로 돌아섰기 때문이겠죠
강북지역
- 매매가격 하락폭은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매매수급은 강북 도심권과 동북권에서 좋아지고 있고 서북권의 매매수급지수는 다른 강북지역보다는 좀 더 낮은 수준입니다
- 전세가격은 하락폭이 조금 감소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매매가격보다 더 빠르게 떨어지고 있음
서울 지역별 아파트 규모별 가격 변동
한 주간의 가격 변동을 아파트 규모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작은 면적의 매매가격 하락이 좀 더 큽니다. 전세가격의 경우 강남의 40㎡~135㎡ 사이 아파트는 한주에 전세가가 -1%씩도 하락했습니다.
특히 서남권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동작/관악)의 85~102㎡대 아파트는 -1.89%로 일주일에만 전세가격이 전주대비 2%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3개월간의 변동을 보면 더 심한데요,
서울 서남권 전세가격은 최근 3개월 동안 -10%도 넘게 하락했고 특히 서남권의 85~102㎡대 아파트는 3개월 만에 무려 -15% 이상 전세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서울 동북권의 소형 아파트는 매매가격이 3개월 동안에 -10%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40~60㎡이하 (하늘색)이 대부분 지역에서 3개월 동안의 변동률이 가장 큽니다.
서울 지역별 아파트 연령별 가격 변동
연령별로 전주대비 가격 변동률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새 아파트라고 해서 덜 빠지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연령별 기준으로 최근 3개월간 변동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매매가격은 3개월 동안 -5% 정도씩은 하락한 것 같네요. 동남권 (강남3구+강동구)이 전반적으로 덜 감소했지만 전세가격은 거의 -10%씩 다 감소했네요.
전반적으로 강남보다 강북의 매매가격이 더 빠르데 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북 도심권의 10년이하 아파트들의 전세가락 하락폭은 신기하게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서울 시군구별 가격변동률
시군구별로 기간별 가격변동률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노원구와 도봉구가 매매/전세 모두 가장 많이 하락했습니다.
서울 전체로 보면, 전세가격은 3개월간 -11.28%, 6개월로 보면 -13.69% 그리고 작년 초 대비해서 보면 -14.08% 하락했습니다. 특히 성북구는 작년 초 대비 전세가격이 -17% 넘게 하락했네요.
매매가격도 전세가격만큼은 아니지만 작년초대비해서 증가한 곳은 한 곳도 없고 최근 6개월 변동률이 서울 전체 기준 -8.67%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아파트 주간동향ㅣ23년1월5주차 (0) | 2023.02.09 |
---|---|
부산 아파트 주간동향ㅣ23년1월5주차 (0) | 2023.02.09 |
주간 전국 아파트 시장동향ㅣ23년1월5주차 (0) | 2023.02.08 |
서울 시군구별 아파트 거래량 얼마나 감소했나 [2022년 11월 기준]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