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일반

해외직구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산 것은? ㅣ온라인 쇼핑 동향

by PaxData 2023. 2. 20.

우리나라 사람들은 미국 해외직구를 하면서 어떤 품목을 가장 많이 구매했을까요? 작년 4분기 기준으로 음·식료품입니다. 그밖에 미국에서 어떤 품목을 주로 구매하고, 또 덜 구매하는지 알아보고 최근 미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는 어떤 트렌드를 보이는지 보겠습니다.

 

썸네일_미국_해외직구_온라인쇼핑_2022년4분기

 

참고로 데이터 출처는 통계청에 있는 온라인쇼핑동향조사 국가(대륙)별/상품군별 온라인쇼핑 해외직접구매액 데이터를 참고했습니다. 필요하면 통계에 대한 설명자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Contents

     

    미국 해외직구 상품군

    미국은 해외직구를 할 때 가장 많은 구매를 하는 국가입니다.

    국가별_해외_직구_쇼핑_상품군_2022년4분기

    작년 4분기 전체 해외직구 구매액 1조 3,440억 원의 34.4%인 4,628억 원을 우리는 미국에서 쇼핑했습니다.

     

     

     

    이런 미국 해외직구를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로 구매한 상품군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국_해외직구_상품군_2022년4분기

    음·식료품이 미국 해외직구 압도적 1위 품목이고 비중도 거의 절반인 49.8%나 차지하는 2,304억 원입니다. 농축수산물은 별도의 품목으로 있고, 이건 공산품류를 말합니다.

     

    당연히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이 1위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데이터를 보면 평소에 생각하지 못한 걸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미국산 먹을거리를 해외직구로 사 먹어 본 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많은 분들이 미국 음·식료품을 구매하나 봅니다.

     

    1개 분기에 2,304억 원이니까 대충 계산해 보면 하루 평균 26억 원어치의 먹을거리를 샀다는 건데요, 뭔지 모르지만 맛있는 게 있나 봅니다.

     

    전체 음·식료품 해외직구에서의 미국 비중도 궁금해서 확인해 봤는데 미국이 압도적입니다.

    음식료품 주요 해외직구 국가 2022년 4분기

    전체 음·식료품 해외직구액이 3,468억 원인데 이 중에서 미국 비중이 66.4%나 됩니다. 무엇을 그렇게 미국에서 사 먹는지 너무 궁금해서 나중에 찾아봐야겠습니다.

     

    미국에서 해외직구로 두 번째로 많이 구매하는 것은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입니다. 이건 저도 수 차례 구매한 적이 있는데요, 작년 4분기에 총 1,013억 원 구매했습니다.

     

    그다음부터는 비중이 확 감소합니다.

    전자·통신기기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도 생각보다는 금액이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애플 때문인지 왠지 금액이 클 거라고 생각했는데 직구로는 많이 구매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미국 해외직구 최근 동향

    최근 미국에서 직구하는 구매액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구매액ㅣ2014년~2022년

    전체 미국 해외직구 금액_추이_2014~2022
    2014~2022년 분기별 미국 해외직구액

    재작년말 피크를 찍고 5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조금 다르게도 보겠습니다. 보통은 계절적인 요인은 제거하기 위해서 이런 데이터를 볼 때 같은 분기끼리 연도 간 비교를 합니다. 그렇게 보면 조금 트렌드가 더 잘 보입니다.

     

    분기별 구매액ㅣ2014년~2022년

    분기별 2014~2022년 미국 해외직구액
    분기별 2014~2022년 미국 해외직구액

    각 분기별로 연도를 모았습니다. 빨간색이 2022년이고 파란색이 2021년입니다.

     

    각 분기별로 최근 5년을 보면 코로나가 한참 유행하던 2020년 2,3분기를 제외하면 매년 해외직구 구매액이 최대치를 갱신해 왔습니다.

     

    하지만 2022년 4분기에 갑자기 미국 해외직구 금액이 2018년 수준으로 대폭감소했습니다. 이전까지의 트렌드였으면 4분기 역대 최대치를 다시 갱신했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음·식료품 구매액ㅣ2014년~2022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구매하는 음·식료품만을 놓고 보면 어떨까요? 우선 전체 추이입니다.

    음·식료품 해외직구 구매액 2014년~2022년

    2022년 3분기, 4분기에 크게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음·식료품도 분기별로 묶어서도 보겠습니다.

     

     

     

    음·식료품 구매액ㅣ2014년~2022년

    2014년~2022년 음식료품 해외직구 구매액
    빨간색이 2022년이고 파란색이 2021년

    분기별로 매년 쭉쭉 성장하다가 2022년 3, 4분기에 감소하기는 했지만 감소폭이 그렇게 커 보이지는 않습니다.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구매액ㅣ2014년~2022년

    그럼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구매하는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을 기준으로 보면 어떨까요?

    2014년~2022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해외직구 구매액

    2021년 4분기부터 5분기째 쭉쭉 빠지고 있습니다. 분기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분기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구매액ㅣ2014년~2022년

    2014년~2022년 분기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해외직구 
 구매액
    빨간색이 2022년이고 파란색이 2021년

    4분기 기준으로 2021년(파란색)에서 2022년(빨간색) 차이가 엄청 큽니다. 2022년에 1~3분기는 2021년에 비해 조금이나마 금액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2022년 4분기 들어서 대폭 감소해서 2014년 이후 가장 적은 4분기 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작년 4분기부터 의류 및 패션 관련상품을 미국에서 해외직구로 이전만큼 구매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원달러 환율 때문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1년 원달러 환율 추이
    월달러 환율 추이. 빨간박스가 2022년 4분기

    작년 4분기에 환율이 1440원을 돌파했습니다. 환율이 높다 보니 해외직구할 때의 금액이 상대적으로 매우 비싸게 느껴졌기 때문에 쇼핑을 줄였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구매대행 수수료가 부담이라서 저렴한 곳을 찾아보는 편인데 환율효과로 인해 가격 자체도 비싸지면 아무래도 부담입니다.

     

    하지만 음·식료품은 아무대로 필수재인 식품이다 보니 상대적으로 덜 감소했고 대신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은 더 크게 감소한 것 같습니다.

     

     

     

    아래는 같은 기간 00 국가의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해외직구 금액입니다. 보시면 미국과는 너무 다릅니다. 2022년 4분기에 역대급 구매액을 보였습니다.

     

    00국가 분기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구매액ㅣ2014년~2022년

    분기별 의류 및 패션 관련 상품 해외직구 금액
    빨간색이 2022년이고 파란색이 2021년

    어느 국가인지는 다른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의 영향 때문에 2022년 4분기 미국 해외직구 금액은 많이 감소했습니다.

    미국 해외직구 상품군별 성장률

    미국 해외직구 상품군별 해외직구 성장률_2022년 4분기

    (사진에서 왼쪽)

    2021년 4분기와 비교하면 사무·문구용품 해외직구액이 9억 원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모든 부분이 감소했습니다. 의류 및 패션 관련상품은 1/3 정도인 -514억이 감소했습니다.

     

    사무·문구용품은 금액으로 보면 크지 않지만 성장비율로 보면 43.3%가 증가했는데요, 사무·문구용품이 필수품도 아닌데 높은 환율에도 구매하는 걸 보면 사무·문구용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하는 사람들은 가격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가 봅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직전인 2022년 3분기랑 비교하면 컴퓨터 및 주변기기, 가전·전자·통신기기가 조금 증가하긴 했지만 어떻게 보아도 가장 큰 감소를 보인건 의류 및 패션 관련상품군입니다.

     

    미국 해외직구 관련된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작년 4분기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 같은데 환율이 이후 하락했으니깐 2023년 1월에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물론 환율이 2월 들어서 다시 상승하고 있는데요, 2023년 1분기 해외직구 실적이 발표되면 다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