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무역에서 흑자를 보는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무역에서 흑자를 본다는 말은 그 국가로 가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서 이득을 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한국이 달러를 벌고 있는 나라라고 할 수 도 있겠습니다.
최신 데이터는 수출입 국가 순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무역수지 흑자' 탭을 클릭하면 됩니다.
상위 국가에 대해서는 한국의 무역 규모 TOP20개국 수출입에 가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값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역수지 흑자 국가 순위
2023년 3월 및 2023년 1월 ~ 3월까지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를 계산해서 무역수지가 흑자인 국가들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기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3월만 놓고 보면 전체 흑자액의 20%가량을 미국에서 보고 있습니다. 베트남, 홍콩까지가 우리나라의 무역 흑자국가 Top3입니다.
참고로 홍콩의 경우 "홍콩 수출이 많은 이유는 뭘까" 포스팅을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계 인구 1위로 올라선 인도가 4위입니다. 중국을 인구수 1위 국가로 알고 계신 분이 계시면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 인구의 27.5배입니다.)
미국에 비해 인구는 4배 이상 많지만 흑자액은 1/3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인도의 경제 수준이 올라간다면 분명 위의 순위에도 변동이 생길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인지 애플도 아이폰 제조 공장을 중국에서 인도로 옮길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하고 얼마 전에는 CEO 팀 쿡이 직접 방문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문제와 한계가 많이 있는 거 같습니다. 특히 산업과 경제의 기본이 되는 전력과 인프라 기반이 많이 부족해서 제조업 생태계가 만들어지기 어려운 상태라고 합니다.
인도에 조금 집중해서 포스팅하는 이유는 한국의 2023년 무역수지 TOP3의 추이는 최근 감소하거나 횡보하고 있는데 인도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아주 즐겨보는 언더스탠딩에서도 인도에 관련된 내용이 올라와서 시청했습니다.
경제 수준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우수한 노동력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 수준부터 올라가야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제대로 된 높은 과정을 갖추고 그러한 교육 과정을 이수한 이들이 사회의 주력 경제활동인구가 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수출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별 수출성장률|2023년 3월 (0) | 2023.05.04 |
---|---|
국가별 무역규모|2023년 3월 (0) | 2023.05.03 |
수입 많은 품목 순위|2023년 2월 기준 (0) | 2023.03.20 |
무역규모 국가 랭킹|2023년2월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