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출입

무역규모 국가 랭킹|2023년2월

by PaxData 2023. 3. 20.

한국과 수출입, 즉 무역을 많이 하는 나라들은 어디일까요? 우리는 수출입을 통해서 그 차이인 무역수지(수출-수입)에서 달러를 얻어서 먹고삽니다. 그리고 자원이 없어서 무역을 잘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데요, 우리의 중요한 무역 파트너는 어디인지 보겠습니다.

 

 

한국의 국가별 무역 규모 순위

2023년 2월 기준으로 관세청에서 수출입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 국가별 무역규모 순위를 구했습니다. 무역규모의 뜻은 수출액과 수입액의 합계입니다.

 

참고로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데이터를 보고 싶다면 수출입 순위 대시보드에 있는 무역규모 탭을 보기 바랍니다.

 

국가별로 2월 당월 및 올해 1월~2월 합계를 기준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상위권은 순위에 변동이 거의 없이 정해져 있습니다.

 

무역규모-국가-순위-2023년2월
데이터 출처: 관세청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그리고 호주가 한국의 주요한 무역 대상국가들입니다.

 

그중에서도 중국이 20%가량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무역 대상국입니다. 그래서 사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중국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멀리할 수 없고 항상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내야 하는 이유입니다.

 

 

일본도 마찬가지입니다. 2위인 미국의 40% 정도 되는데요, 그래도 전체 3위입니다. 요새 정부의 강제징용 관련 처분에 대해서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과 단체들이 동의하지 않아서 주말에 시위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경제적으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베트남과 호주는 1~3위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금 멀게 느껴지는 나라들이지만 그래도 월간 50억 달러 정도씩 무역을 하고 있는 나라이기에 중요한 파트너들입니다.

 

그래서 얼마 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베트남 하노이에 직접 가서 베트남의 경제부총리를 만나서 공급망, 원자재에 관한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수출입과 무역에 관한 다른 랭킹 (2023년 2월)

 

▶ 국가별

▶ 품목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