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주로 수출을 하는 국가들의 수출성장률을 확인해 봤습니다. 2023년 3월 기준으로 전반적으로는 작년에 비해 수수출액이 감소했습니다. 특히 대중국 수출이 전년대비 30%가량 하락하면서 전체 수출 감소를 주도했습니다.
최신 데이터를 찾는다면 한국의 무역규모 TOP20개국 수출입 대시보드를 참고 바랍니다.
혹은 수출입 대시보드 모음에서 더 우리나라의 무역에 관련된 더 많은 데이터를 볼 수도 있습니다.
한국 주요 수출 국가별 전년대비 수출 증가율
2023년 3월 누계 수출액 기준으로 상위 20개 국가들의 2022년 대비 2023년의 수출 증가율입니다.
2023년 3월 한 달만 놓고 보면 튀르키예 (이전의 터키)가 수출액이 24% 정도 성장하면서 가장 수출 증가액이 큰 국가였습니다.
폴란드는 무기 수출 덕분인지 전체 국가들 중에서 두번째로 많은 수출액 증가를 보였습니다.
K방산이 폴란드를 넘어서 유럽 및 다른 국가로도 수출되어서 수출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는 기사도 봐었는데요, 앞으로도 계속 잘 성장하면 좋겠습니다.
그 뒤를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가 뒤따랐습니다 3월 한달 기준으로 전년에 비해 수출이 증가한 국가는 이렇게 5개 국가뿐이었습니다.
나머지 수출 상위 15개 국가의 수출액은 모두 전년대비 감소했습니다.
위의 차트를 보면 맨 아래에 있는 큰 막대그래프가 눈에 띄는데요, 바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수출액이 매우 크게 감소한 중국입니다.
수출액 감소 원인
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하락의 원인은 對중국 수출 감소입니다.
2022년 3월에 비해 -33%, 금액으로는 무려 52억 달러나 감소했습니다.
참고로 한국의 전체 수출 금액을 최근 3년간 월별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 3월 전체 수출금액은 637.9억 달러이고 올해 3월은 551.1억 달러로 -87억 달러 하락했습니다.
즉 중국의 -52억 감소액은 전체 하락의 60%를 차지합니다.
이는 수출이 증가한 국가들의 증가분을 모두 합친 것의 8.5배 정도됩니다. 심각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의 합계액으로 봐도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년대비 -30% 정도를 보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아래와 같은 뉴스도 나오고 있습니다.
뉴스를 보면 반도체 및 화장품 등의 수출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중 갈등 국면 속에서 우리나라가 무역에서 중국으로부터 인위적인 피해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수출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무역 흑자 국가 랭킹|2023년 3월 (0) | 2023.05.05 |
---|---|
국가별 무역규모|2023년 3월 (0) | 2023.05.03 |
수입 많은 품목 순위|2023년 2월 기준 (0) | 2023.03.20 |
무역규모 국가 랭킹|2023년2월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