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78 무역수지 적자 국가 순위ㅣ2023년 1월 우리나라가 수출하는 것보다 더 큰 금액을 수입해서 적자를 보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무역수지 적자의 의미는 우리나라에 있는 달러화가 그 나라로 흘러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원달러 환율에도 좋을 것이 없겠죠. 관세청 데이터를 가지고 직접 확인해 봤습니다. 가장 최근 데이터를 보고 싶은 경우 여기에 정리해 놓았습니다. '무역수지 적자' 탭을 클릭하면 됩니다. 무역수지 적자 국가 현황 2023년 1월 수입액이 수출액 보다 커서 우리나라가 적자를 많이 본 국가 순위입니다. 우리나라 양 옆의 두 나라 중국과 일본은 모두 상위권에 들어가 있네요. 특히 우리는 중국한테 지난달에만 40억 달러 가까이 적자를 봤습니다. 왜 이렇게 크게 적자를 보고 있는지는 다른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난 배경 .. 2023. 2. 28. 무역수지 흑자 국가 순위ㅣ2023년 1월 2023년 1월 기준 한국이 세계 여러 국가들과 무역을 하고 흑자를 많이 낸 국가 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무역수지 흑자의 뜻은 그 국가로 수출한 금액이 수입보다 많아서 이득(흑자)을 봤다는 의미입니다. 관세청 수출입 데이터를 가지고 국가별 흑자 규모를 보겠습니다. 흑자국가 순위 지난달인 2023년 1월 기준으로 상위 20개 무역수지 흑자 국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베트남과 미국에서 전체 흑자의 10% 이상씩을 내면서 각각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 2개 국가의 합이 전체의 1/4 정도 됩니다. 거기에 3위 홍콩을 추가하면 이렇게 3개 국가가 월 10억 달러 이상 흑자를 내고 있고 전체의 1/3을 차지합니다. 20위에 보이는 영국보다 10배 이상 우리가 달러를 버는 주요한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밖.. 2023. 2. 28. 혼인건수 계속 감소.. 결혼 행진곡 듣기 어려워진다 혼인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작년 12월 19만 건 조금 넘는 결혼식이 치러졌는데요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조혼인율 또한 모든 시도에서 감소하고 있습니다. 웨딩업체도 그 숫자가 줄고 있어서 이제는 하고 싶어도 장소 구하는 게 어렵다고 합니다. Contents 혼인건수 현황 연간 결혼식을 올린 건수를 보면 1996년 434,911건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22년 12월에는 191,697건의 혼인건수를 보였는데 1990년대에 계속 40만 건 전후 수준이던 걸 감안하면 약 30년 만에 건수가 반토막이 났습니다. 코로나 상황이 잠잠해지고 결혼식 인원제한이 사라지면 증가할 것으로 기대 되었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래프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2022년 연간 혼인건수는 2021년.. 2023. 2. 28. 노령화지수 의미/기준/해석 2070년 최악의 경우 858% ?! 혹시 노령화지수라고 들어보셨나요? 나이 많은 사람이 어린 사람보다 얼마나 더 많은지 비율로 나타낸 거로 생각하면 됩니다. 통계청에서 저위, 중위, 고위 3가지 시나리오별로 미래를 예상했습니다. 오늘도 직접 데이터를 보면서 어떻게 예상되는지 보겠습니다. Contents 노령화지수 의미 노령화지수는 65세 이상 인구수 ÷ 15세 미만 인구수를 100으로 나누어서 비율로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15세 미만의 어린 사람보다 얼마나 더 많은지를 뜻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이 숫자가 100% 라면 두 집단의 인구수가 똑같다는 의미이고, 200% 라면 65세 이상 인구수가 15세 미만의 2배라는 뜻입니다. 통계를 보고 좀 더 자세한 기준과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2021년 12월에.. 2023. 2. 28.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