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일반20 노령화지수 의미/기준/해석 2070년 최악의 경우 858% ?! 혹시 노령화지수라고 들어보셨나요? 나이 많은 사람이 어린 사람보다 얼마나 더 많은지 비율로 나타낸 거로 생각하면 됩니다. 통계청에서 저위, 중위, 고위 3가지 시나리오별로 미래를 예상했습니다. 오늘도 직접 데이터를 보면서 어떻게 예상되는지 보겠습니다. Contents 노령화지수 의미 노령화지수는 65세 이상 인구수 ÷ 15세 미만 인구수를 100으로 나누어서 비율로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15세 미만의 어린 사람보다 얼마나 더 많은지를 뜻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이 숫자가 100% 라면 두 집단의 인구수가 똑같다는 의미이고, 200% 라면 65세 이상 인구수가 15세 미만의 2배라는 뜻입니다. 통계를 보고 좀 더 자세한 기준과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2021년 12월에.. 2023. 2. 28. 삼남매가 용감하게 시청률ㅣ토요일에는 안보고 일요일에는 본다? KBS2 토일 드라마 삼남매가 용감하게 시청률이 정말 높아서 시청률 데이터를 확인해 봤는데 신기한 현상이 있습니다! 바로 일요일의 시청률이 항상 토요일보다 높다는 것입니다. 일요일에 많이 보게 만들고 궁금한 상태에서 끝나야 일주일 동안 기다리게 되기 때문일까요? '삼남매가 용감하게'의 방송시간은 토, 일요일 오후 8시경 KBS2에서 방영하고 있는 인기 드라마입니다. 이른바 K-장남과 K-장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스토리인데 시청률이 아주 높습니다. 현재 44회 차까지 방영되었고 2월 26일 45회 차가 방영되는데요, 보시다시피 평균 시청률이 21.3%나 됩니다. 최고 시청률은 27.2% 였던 43회 차로 스포를 하면 안 되겠지만 약간의 반전이 나왔었죠. 못 보신 분들은 VOD나 줄거리 요약 글을 보시면 될.. 2023. 2. 26. 이혼을 덜한다? 이혼건수 감소중 우리나라 이혼율은 어떨까요? 결혼만큼 우리 인생에 큰 영향을 주는 이벤트가 바로 이혼일 겁니다. 하지만 결혼과는 달리 일어나지 않아야 할 일인데요, 다행히 매년 감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원인이 꼭 긍정적이지 만은 않은데요, 데이터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가장 최근 데이터 및 시도별 현황에 대해서는 시도별 이혼건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혼 건수 현황 1980년부터 작년인 2022년까지의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해외에서 결혼한 경우에도 우리나라 주민등록자라면 포함됩니다. 1980년 이후 계속 증가해서 2003년 166,617건으로 정점을 찍고 작년 말까지 계속 건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2022년 93,244건이 발생했습니다. 이혼 전문 변호사 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그래프일.. 2023. 2. 26. 조이혼율 뜻과 연도별 추이 보통 이혼에 관해서는 이혼 건수와 함께 조이혼율이라는 지표를 함께 봅니다. '건수'는 절대적인 숫자인 반면, 조이혼율은 '전체 인구 대비' 이혼건수를 파악하기 위한 보조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정확한 의미와 지표의 한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Contents 정의 설명 조이혼율이란, 각 연도의 전체 신고된 이혼건수가 그 연도의 연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연앙인구의 뜻은 각 연도의 7월 1일자 주민등록인구수를 말합니다. 출생, 사망으로 인해 인구는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가운데 값을 기준으로 세운 것입니다. 100분위가 1,000분위인 이유는, 이혼 같은 이벤트는 자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100 분위로 보게 되며 값이 너무 작기 때문에 보통 "1,000명을 기준으로 몇 명" .. 2023. 2. 26.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